Ban Jaeha 반재하
Alazon, Agroikos, Bomolochos
허풍선이, 촌뜨기, 익살꾼

2018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21min 27sec


English subtitle︎


Alazon Script
2018
29.7*21cm
print on paper
 

Agroikos Script
2018
29.7*21cm
print on paper

 

Bomolochos Script
2018
29.7*21cm
print on paper

 

Untitled(Stuff)
2018
dimensions variable
15 mugs, 13 stickers, 8 t-shirts, 4 tote bags, 1 pillow, 1 tumbler, 1 golf ball set, 1 plastic bag, 4 boxes






Untitled(A Tote Bag)
2018
44.2 x 44.2cm
pigment print, framed
 

Untitled(A Poster)
2018
25.7 x 43.6cm
pigment print, framed
 

Untitled(A Mug 1)
2018
12.9 x 12.9cm
pigment print, framed
 

Untitled(A Mug 2)
2018
12.9 x 12.9cm
pigment print, framed
 

Untitled(A Mug 3)
2018
12.9 x 14cm
pigment print, framed
 

Untitled(A Sticker)
2018
8.9 x 11.6cm
pigment print, framed









 
A mouse pointer briskly clicks and moves on American website to place an order. Everyday objects are quickly added to the cart: a tumbler, mug, shower curtain, pillow cover, t-shirt, and eco-bag. The printed graphics on each items instantly grab the attention. These images are all about North Korea. From Our Great Leader to the propaganda of North Korean regime, the graphics range from authentic propaganda image to the parody of North Korean aesthetics. The various merchandises are simply intertwined with one keyword, ‘North Korea’. This is how an opening scene of BJH’s single channel video clip, Alazon, Agroikos, Bomolochos starts.

Initially, BJH intended to construct a project that would transfer her prevailing, yet uncanny sentiments toward merchandises of North Korea into witty use of satire. To do so, she planned to trace the distribution of merchandises and observe how would they integrate into the lives of audience who share similar sentiments with artist herself. It was to visualize the futility of totalitarian symbol and propaganda in the context of highly commodity-centralized society. How these seemingly tabooed products of North Korea would operate in highly capitalized society of South Korea? This question, however, remains unanswered and hypothetical.

In Alazon, Agroikos, Bomolochos, the mouse pointer and voice-over each perform its actions separately, yet appear on the same screen. The duality of each actions represents coexisted yet disjointed timeline of post-cold war and cold war in Korea. The pointer, which can wander freely on international website, embodies that we are in post-cold war era, whereas a voice-over of South Korean officials censoring the materials continually reminds us that cold-war has never ended in Korea. In the middle of 21st century, the world has witnessed Inter-Korean summit, promising peace. However, in South Korea, any material still can be censored under National Security Act. What if South Korean disregards this piece of information and attempts to purchase North Korean themed products made by United States? One day, the artist receives a phone call from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NIS), which has altered the angle of her project.   

It all begins with a tumbler ordered from United States under the product name, ‘The Great Leader Kim Il-sung’. In order to arrange the project, BJH purchases many other North Korean themed merchandises. However, due to the suspicious names of the products, she receives a call from Korea Customs Brokers Association(KCBA). The officials at KCBA lecture and rebuke her as a reckless youngster. After KCBA hands over all information about the artist and the list of merchandises to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NIS), she receives another call from NIS without any Caller ID. Accompanied with all information about the artist, it “confirms” and “investigates” far more specific and private details to examine the artist’s possible engagement with North Korea. Likewise, the Custom office notifies that it is yet, “premature” to permit products with North Korean propaganda; hence, certain items will be enforced to seizure and forfeiture. Ironically, officials emphasize that they well acknowledge the purpose of products which are for exhibition and “appease” the artist by saying that they do not want to limit or oppress freedom of expression. Despite this unexpected 55-days of journey and all the hassles, the artist was relieved to finally receive the products. However, a few days later, she finds out that some of the items that were supposedly seized have arrived, whereas some exempted items have not.

What is the purpose of ‘reprimand, ‘investigation’ and ‘appeasement’ in the Customs procedure? In retrospect of her 55-day journey, the artist examines the theatrics within. The products have invoked such solemnity among many, yet have remained irrelevant throughout the course of event. The artist is perceived as an irresponsible youngster, potential threat to national security or possible collaborator against ROK, and “artist” who supposedly has freedom of expression. As these roles are unwillingly granted by others, the artist involuntarily joins a play, staged in South Korea, surrounded by the curtain of National Security Act and the fourth wall of 38th Parallel, Military Demarcation Lin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title of BJH’s film Alazon, Agroikos, Bomolochos is inspired by the category of comedy characters  from『Anatomy of Criticism』 by Northrop Frye. Each category metaphorically refers to the officials of Korea Customs Brokers Association, NIS, and Korea Customs Service. Accordingly, the artist appropriates the script for each officials as respective characters. The voice over in the film disrupts the border and provides audience the opportunity to discern whether it is government officials “duties” or it is just a performance. Consequently, after the post production of images, text, sound, and the script, the artist eventually obtains performativity. The artist displays North Korean merchandise, film, and script as a whole piece of work as if it were carefully constructed from the very beginning.

The objective of post-production was not to incite political scandal or accuse this incident, yet it is to capture the sense of humor that the artist primarily intended to portray. In the context of this apparent uncanniness between residues of post-cold war and rampant capitalistic production, calling the project as “premature” or “fore-front” ironically makes the artist an avant-garde. Will it be ever possible for us to enjoy wit and irony of North Korean merchandises and uncanny scene that they create in-out of Korean border?

마우스가 산만하게 딸깍거린다. 세계의 상품들을 유영하듯 마우스 휠이 미국의 오더-메이드 플랫폼을 넘나든다. 머그잔, 텀블러, 샤워 커튼, 베개, 티셔츠, 에코백 등의 일상적 소품들이 나열된다. 거기에 덧대어진 이미지들이 한눈에 띈다. ‘북한’을 소재로 한 시각 이미지들이다. 위대한 영도자의 환한 미소부터 북한 체제의 프로파간다 이미지와 텍스트, 또 그와 유사한 색감과 어법을 패러디하며 ‘구제’와 ‘힙함’을 넘나드는 디자인까지, 일상적 소품은 ‘북한’이라는 키워드로 엮인다. 반재하의 싱글 채널 영상 <허풍선이, 촌뜨기, 익살꾼>의 장면은 이렇게 시작된다.

이번 전시는 반재하 작가의 두 번째 유통 프로젝트다. 이번 <따뜻한 전쟁(Warm War)>은 지난 냉전(cold war) 시대의 잔재였던 이미지들이 희한하고 특별한 주문 제작 상품으로 변모하는 소비사회의 유연함 혹은 ‘따뜻함’ 포착하려고 했다. 작가는 자신이 북한 굿즈에 느끼는 언캐니를 관객에게 유머로 구사하고자 했다. 유머를 함께 나눈 관객들에게 북한 굿즈를 유통하고 각자의 집안에 한 자리씩 차지해 일상 소품으로 안착하는 과정을 추적하려고 했다. 남한에서 금지된 것만 같은 기분을 자아내는 북한 굿즈들이 관객들의 일상 곳곳에서 파고들어 고무찬양 상징의 무용함과 소비사회의 강력함을 가시화해보려던 참이었다. 하지만 위의 모든 과정은 가정형이다. ‘무엇무엇‘하려고 했을 뿐이다.

우리는 21세기 한복판에서, 남북정상회담을 목도했다. <허풍선이, 촌뜨기, 익살꾼>의 마우스 휠이 유영하는 국제적인 무대는 우리가 어떤 시간대에 위치하는지 확인시켜준다. 하지만 영상 속 변조된 보이스 오버는 우리가 위치한 남한이라는 국지적인 무대가 비동시적인 동시대라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여전히 모든 표현물이 국가보안법의 점검 대상이 될 수 있는 나라다. 만약 우리가 이 사실을 고려하지 않고 미국산 북한 굿즈를 사들인다면 어떻게 될까? 작가는 국가정보원의 전화 한 통을 받게 된다. 본래 기획된 프로젝트가 가정형이 된 이유다.
시작은 미국에서 건너온 ‘The Great Leader Kim Il-sung’이라고 명기된 텀블러 이름이었다. 작가는 본래 기획한 프로젝트를 이행하기 위해 다수의 북한 굿즈를 사들였다. 하지만 수상한 상품명 탓에 관세사무소와 통화를 한다. 관세사무소와의 통화에서 작가는 철없는 젊은이로 잠정적으로 위치 지어지며 ‘야단’을 맞는다. 주문자와 상품 리스트를 넘겨받은 국정원은 발신자표시제한으로 전화를 걸어 작가의 일반적인 정보를 모두 확인한 뒤 좀 더 구체적인 사적 정보들을 ‘탐문’하며 이적 행위 가능성을 가늠한다. 다시 관세사무소와 긴 실랑이 끝에 연락이 닿은 세관은 “아직 시기상조”이기에 구체적인 찬양 문구가 들어간 물건들은 통관 보류하고 나머지만 통관하겠다고 통보한다. 하지만 상품의 목적이 전시임을 분명히 인지했으며,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싶지 않다는 말로 작가를 ‘회유’하며 종결짓는다. 예상치 못한 55일의 장정 끝에 그래도 상품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 작가는 안도했다. 하지만 며칠 뒤 작업실에 도착한 택배 박스 안에는 몇 개의 통관 보류된 상품들이 와있었고, 몇 개의 통관된 상품들은 보이지 않았다.

‘야단’과 ‘탐문’과 ‘회유’의 과정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작가는 55일간의 여정 속에 내포한 연극성을 되돌아본다. 모두가 심각하지만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았던 북한 굿즈. 작가는 그동안 철없는 젊은이, 이적 행위 가능자,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면 안 되는 예술가 등을 역할을 수동적으로 부여받았다. 마치 남한이라는 무대 위에서 국가보안법이라는 장막에 둘러싸여 38선이라는 제 4의 벽을 둔 한 편의 연극에 참여한 것만 같았다.

반재하의 싱글채널 영상 제목인 <허풍선이, 촌뜨기, 익살꾼>은 노스롭 프라이(Northrop Frye)가 『비평의 해부』에서 정의한 희극의 캐릭터 유형에서 따왔다. 각각 관세사무소, 국정원, 세관을 비유적 혹은 직유적으로 일컫는다. 세 가지 유형의 캐릭터에 걸맞는 퍼포먼스 스크립트를 준비했다. 이는 영상 속 보이스 오버가 스크립트를 발현하는 퍼포머의 연기인지, 기관 직원의 공무 수행인지 경계를 교란하며 실재를 들여다볼 기회를 제공한다. 통화 내내 수동적으로 역할을 부여받았던 작가는 이미지와 사운드, 스크립트 등 포스트 프로덕션을 거치며 비로소 수행성(performativity)을 획득한다. 철저한 계산 아래 이뤄진 것인 양 스크립트, 영상작업, 북한 굿즈를 진열하고 전시한다.

하지만 포스트 프로덕션의 가장 큰 동기는 이 사태를 증언하고 고발하는데 있지 않다. 그보다 가정형에 그쳤던 프로젝트에서 구사하려던 유머를 추구한다. 냉전의 잔재와 상품 생산의 언캐니를 드러내며 전시의 제목이 된 <따뜻한 전쟁>이 “아직 시기상조”라고 한다면, 작가는 얼떨결에 아방가르드가 되어버린 꼴이다. 북한 굿즈의 안과 밖을 맴돌며 포착되는 언캐니한 장면들은 우리에게 유머로 유통될 수 있을까?

협력 기획 조기현
© Ban Jaeha